사랑하는 데 이유가 있지는 않았다. 애를 써 되짚어도 어느 시점 혹은 어느 순간이 시작이었는지 알 수가 없다. 첫 만남조차도 불명확했다. 어떤 생각을 했는지 어떻게 만나 무엇을 했는지 무엇 하나 분명하게 기억나는 것이 없다.
다만 어느 먼 훗날 내면에 침잠해 센스 레코드의 기억을 찬찬히 살필 때 시작도, 끝도, 순서도 없이 불티처럼 피어나는 장면과 감정들. 어린 숨결과, 부드러운 손의 감촉과, 짐짓 짓궂은 목소리로 서로 반론을 제기해보곤 했던 사상과 이론, 그러다가도 머리를 맞대고 밤 새워 읽었던 연인들의 비극. 깜박 잠이 들었다가 아침 햇살이 눈꺼풀을 때리면 다시 손을 맞잡고 굳이 서로 맞추어 걸었던 발소리까지.
기억과 장면은 죄 불씨처럼 단편적이지만 불길이 붙어 훗날까지 오래도록 이어져간 것들이 있었다. 가령 오토마타의 권리에 대한 논쟁이 있었고, 짬이 날 때마다 발맞춰 연습했던 둘만의 춤이 있었으며, 언제든 상대는 서로뿐이니 이야기할 때 눈을 돌리지 말자고 귓가에 속달거렸던 약속이 있었다. 열두 살이었다. 열두 살배기 아이들의 약속은 각자가 머리가 굵어 소녀가 냉엄한 감시자로 불리고 소년이 천재 공학사로 불릴 때까지 지속되었다. 고작 열두 살짜리들이 그러했느냐면 정말로 그랬다. 열두 살이라고 사랑하는 데 이유가 있지는 않았다.
아이들은 종이에 물에 스미듯 당연하게 사랑했고 아침 해가 그림자를 자르듯 막힘없이 자라났다. 여느 연인들처럼 마음이 자라고 몸도 자랐다. 세상에 대해서 토론을 하다가 드물게 의견이 맞지 않아 입술을 삐죽이면 그 위로 새처럼 입을 맞추고 곧 웃음소리가 흐드러졌다.
이렇듯 정책이나 기술, 현안 따위를 토의하는 것이 세계를 위하여 만들어진 자들의 일상이었지만 남자와 여자는 몇 번인가는 그런 모든 것들로부터 멀리, 멀리 떨어진 곳으로 여행을 갔다. 방에 도착하자마자 짐을 풀어헤치고 기지개를 켜고 머리까지 풀어헤쳤다.
그런 후에는 종일 나가서 들어오지 않기도 했고 아예 방에서 나가지 않기도 했다. 간식과 책과 옷가지가 굴러다녔다. 레드그레이브가 둘둘 말린 이불 안에서 맨발을 내밀고 발끝을 까딱거리면 그라이바흐가 꽃을 꺾어다 이불 속에 파묻힌 여자의 얼굴 아래 들이밀었다. 여자는 간지럽다고 웃고 이불이 흔들리다가 남자의 품 안으로 넘어져 버렸다. 꽃이 쏟아졌다.
…(중략)…
그렇기에 그들은 여느 연인들처럼 싸우고 소원해졌다. 역시, 특별한 이유 같은 것은 없었다. 그녀는 그렇게 믿는다. 따져 보면야 이것저것이 많지만 의미는 없다. 서로의 분야가 달랐던 것, 가끔 내색하는 서운함도 무시했던 것, 업무와 선천적인 신체의 한계로 아이를 낳고 가정을 이룰 수 없었던 것, 생일 밤 인사를 빼먹었던 일이나 아팠던 곳은 괜찮으냐는 물음에 퉁명스럽게 대답했던 순간까지, 수없는 기억의 단편을 돌이켜 보아야 어쩌지 못할 후회만 속절없이 남아 괴로울 일이고. 그저 태어나 당연하게도 사랑했듯이 때가 오자 수순처럼 자연스럽게 한낮의 열정이 사그라지고.
그리고, 헤어짐도 왔을 뿐이라고.
수사국이 뒤집어졌다.